GREEN NEWS

HOME > COMMUNITY > GREEN NEWS


2018년 대비 2020년 화학물질 취급업체 19.9% 증가 (2023.01.18)

조회수 324


환경부(장관 한화진)는 '제4차(2020년) 화학물질 통계조사' 결과, 화학물질 취급업체 3만 7,107개 사업장에서 3만 1,600종의 화학물질 6억 8,680만 톤이 유통되었다고 밝혔다.


이는 2018년 제3차 조사 대비, 취급업체 수는 19.9%, 화학물질 종류는 7.1%, 유통량은 7.6%가 각각 증가한 수치다. 유통량이 7.6%(4,861만 톤) 증가한 것은 제조·수입량 증가와 통계조사 대상의 확대가 원인*인 것으로 나타났다.

* 광양(26.4백만톤↑), 대산(21.0백만톤↑), 포항(26.0백만톤↑) 등의 주요 산단의 제조·수입량 증가 및 조사 대상 10,592개소(전체 사업장의 28.5%) 확대


환경부는 지난 2014년 제1차 화학물질 통계조사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취급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 및 제조, 사용, 수출입 등의 취급실태를 파악하여 화학사고 대응 및 예방, 사업장 취급 안전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해왔다.


'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'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.


취급형태별로는 2018년 대비 제조량 8.2%(3,489만 톤), 수입량 5.6%(1,859만 톤), 수출량 4.1%(487만 톤)이 각각 증가했다.


'18년, '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비교  구분  '20년  '18년  증감량  (%)  업체수(개소)  37,107  30,954  6,153  (19.9)  화학물질(종)  31,600  29,499  2,101  (7.1)  유통량*(백만톤)  686.8  638.2  48.6  (7.6)  제조량  461.3  426.4  34.9  (8.2)  수입량  350.6  332.1  18.6  (5.6)  수출량  125.1  120.2  4.9  (4.1)  * 유통량(686.8백만톤) = [제조량(461.3) + 수입량 (350.6)] - 수출량(125.1)


지역별로는 대규모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입지한 전남(29.6%), 울산(24.4%), 충남(18.8%) 등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제조·수입량의 72.8%인 5억 9,089만 톤을 차지했다.


지역별 제조·수입 현황  (단위 : 백만톤)  순위  시도  '20년도  '18년도  증감량   제조·수입량 (%)  제조·수입량 (%)  계  811.9  (100.0)  758.4  (100.0)     53.5  1  전남  240.5  (29.6)  212.9  (28.1)     27.6  2  울산  197.8  (24.4)  207.1  (27.3)  △9.3  3  충남  152.6  (18.8)  125.5  (16.5)     27.1  4  경북  65.3  (8.0)  38.7  (5.1)     26.7  5  인천  34.1  (4.2)  46.5  (6.1)  △12.4  6  강원  31.9  (3.9)  36.9  (4.9)  △4.9  7  서울  27.8  (3.4)  16.8  (2.2)     11.0  8  경기  27.4  (3.4)  19.9  (2.6)      7.6  9  충북  14.8  (1.8)  20.3  (2.7)  △5.5  10  경남  10.1  (1.2)  21.9  (2.9)  △11.8  11  전북  5.6  (0.7)  6.7  (0.9)  △1.1  12  부산  2.4  (0.3)  3.0  (0.4)  △0.6  13  제주  0.5  (0.1)  0.5  (0.1)  0.03  14  대전  0.4  (0.1)  0.5  (0.1)  △0.02  15  광주  0.4  (0.0)  0.2  (0.0)  0.2  16  대구  0.2  (0.0)  0.9  (0.1)  △0.6  17  세종  0.1  (0.0)  0.4  (0.1)  △0.4


산단별로는 여수 산단(19.5%), 울산·미포 산단(13.7%), 온산 산단(10.4%), 광양(9.1%), 대산(8.6%) 순으로 제조·수입량 상위 순위를 차지했다.


산업단지별 제조·수입 현황  (단위 : 백만톤)  순위  산단  '20년도  '18년도  증감량  제조·수입량 (%)  제조·수입량 (%)  계  811.9  (100.0)  758.4  (100.0)  53.5  1  여수국가산단  158.7  (19.5)  158.0  (20.8)  0.8  2  울산ㆍ미포국가산단  111.0  (13.7)  136.2  (18.0)  △25.2  3  온산국가산단  84.6  (10.4)  69.0  (9.1)  15.6  4  광양국가산단(광양제철)  74.2  (9.1)  47.8  (6.3)  26.4  5  대산일반산단  70.2  (8.6)  49.1  (6.5)  21.0  6  포항국가산단(포항제철)  56.3  (6.9)  30.3  (4.0)  26.0  7  현대제철(구 송산)일반산단  10.6  (1.3)  19.3  (2.5)  △8.7  8  아산국가산단(원정지구)  10.1  (1.2)  12.4  (1.6)  △2.3  9  안정국가산단  6.9  (0.8)  8.0  (1.0)  △1.1  10  북평국가산단(북평)  6.1  (0.8)  6.5  (0.9)  △0.4  11  당진1철강일반산단  4.5  (0.6)  -   (0.0)  4.5  12  호산일반산단  3.3  (0.4)  4.9  (0.6)  △1.6  13  포항국가산단(포항철강2연관)  3.0  (0.4)  2.6  (0.3)  0.4  14  군산일반산단  2.3  (0.3)  2.7  (0.4)  △0.5  15 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 (구 탕정2)일반산단  2.2  (0.3)  0.1  (0.0)  2.2  16  고정국가산단  2.1  (0.3)  0.4  (0.1)  1.7  17  광양국가산단(광양연관)  2.0  (0.2)  3.5  (0.5)  △1.5  18  장당일반산단  2.0  (0.2)  0.0  (0.0)  2.0  19  아산국가산단(고대지구)  1.6  (0.2)  2.7  (0.4)  △1.1  20 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 (구 탕정컴플렉스)일반산단  1.2  (0.2)  0.1  (0.0)  1.1    기타 산업단지  25.1  (3.1)  21.2  (2.8)  3.9    해당없음  173.9  (21.4)  183.8  (24.2)  △9.9


업종별로는 코크스·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전체 제조·수입량의 38.8%를 차지했고, 다음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(27.6%), 1차 금속 제조업(19.6%)의 비중이 높았다.


업종별 제조·수입 현황  (단위 : 백만톤)  순위  업종 (중분류)  '20년도  '18년도  증감량  제조·수입량 (%)  제조·수입량 (%)  계  811.9  (100.0)  758.4  (100.0)  53.5  1  코크스,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314.7  (38.8)  305.5  (40.3)  9.3  2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;의약품 제외  224.3  (27.6)  191.6  (25.3)  32.6  3  1차 금속 제조업  158.8  (19.6)  118.8  (15.7)  40.0  4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49.5  (6.1)  66.0  (8.7)  △16.5  5  전기, 가스,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43.8  (5.4)  56.0  (7.4)  △12.3  6  도매 및 상품중개업  10.6  (1.3)  8.9  (1.2)  1.7  7  전자부품, 컴퓨터, 영상,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1.8  (0.2)  0.2  (0.0)  1.7  8 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 1.7  (0.2)  1.6  (0.2)  0.0  9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1.6  (0.2)  1.1  (0.1)  0.5  10  비금속광물 광업;연료용 제외  1.2  (0.1)  1.3  (0.2)  △0.1  11  그 외 업종('18년 59개/'20년 62개)  4.0  (0.5)  7.4  (1.0)  △3.4  ※ 업종분류 근거 : 「통계법」 제22조에 따른


유해화학물질(1,413여종)의 제조·수입량은 전체 제조·수입량의 9.8%인 7,936만 톤으로 2018년 대비 2.8% 증가했다.


상위 10위 유해화학물질 제조·수입 현황  (단위 : 천톤)  순위  화학물질명(CAS No)  '20년도  '18년도  증감량  제조·수입량 (%)  제조·수입량 (%)  총 계  79,357  (100.0)  77,196  (100.0)  2,161  소 계 (10개 물질)  50,738  (63.9)  50,484  (65.4)  254  1  벤젠(71-43-2)  9,932  (12.5)  10,650  (13.8)  △718  2  p-자일렌(106-42-3)   9,447  (11.9)  11,599  (15.0)  △2,152  3  톨루엔(108-88-3)  6,166  (7.8)  6,212  (8.0)  △46  4  황산(7664-93-9)  5,290  (6.7)  5,443  (7.1)  △153  5  메틸알코올(메탄올)(67-56-1)  4,318  (5.4)  2,150  (2.8)  2,168  6  스타이렌(100-42-5)  4,227  (5.3)  4,111  (5.3)  117  7  1,3-부타디엔(106-99-0)  3,093  (3.9)  2,616  (3.4)  478  8  수산화나트륨(1310-73-2)  3,076  (3.9)  2,882  (3.7)  194  9  자일렌(1330-20-7)  2,685  (3.4)  2,252  (2.9)  432  10  1,2-디클로로에탄염화수소(107-06-2)  2,505  (3.2)  2,571  (3.3)  △66    기타 (1,403종)  28,619  (36.1)  26,712  (34.6)  1,907


발암성물질은 총 307종, 4,196만 톤으로 전체 제조·수입량의 5.2%를 차지하며 2018년 대비 7.9%가 감소했다.



사고대비물질은 97종 중 89종, 4,340만 톤이 취급되었으며 2018년 대비 4.2%가 증가했다.


상위 10위 사고대비물질 제조·수입 현황  (단위 : 천톤)  구분  '20년도  '18년도  증감량  제조·수입량 (%)  제조·수입량 (%)  총 합계(89종*)  43,395  (100.0)  41,653  (100.0)  1,742  1  벤젠(71-43-2)  9,932  (22.9)  10,650  (25.6)  △718  2  톨루엔(108-88-3)  6,166  (14.2)  6,212  (14.9)  △46  3  황산(7664-93-9)  5,290  (12.2)  5,443  (13.1)  △153  4  메탄올(67-56-1)  4,318  (9.9)  2,150  (5.2)  2,168  5  염소(7782-50-5)  2,114  (4.9)  2,046  (4.9)  67  6  염화비닐(75-01-4)  1,735  (4.0)  1,638  (3.9)  97  7  질산(7697-37-2)  1,545  (3.6)  1,558  (3.7)  △13  8  페놀(108-95-2)  1,531  (3.5)  1,561  (3.7)  △30  9  염화수소(7647-01-0)  1,406  (3.2)  1,687  (4.1)  △281  10  암모니아(7664-41-7)  1,332  (3.1)  1,420  (3.4  △89  -  기타 (79종)  8,026  (18.5)  7,289  (17.5)  737  * 사고대비물질 97종 중 '20년도 제조수입량 물질 수는 89종


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 '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(icis.me.go.kr)'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


신건일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"2018년 대비 화학물질의 제조, 수입, 유통량이 증가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화학물질의 유통 및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"라며,


"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를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,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학물질 관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마련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"라고 말했다.  


붙임  1.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.

        2. 연도별·형태별 유통 현황.

        3. 제조·수입·수출 현황.

        4. 질의응답.

        5. 전문용어 설명.  끝.


담당 부서  환경부  책임자  과  장  신건일   (044-201-6770)  총괄  화학물질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전상인   (044-201-6785)  협업  화학물질안전원  책임자  과  장  윤준헌   (043-830-4210)  사고예방심사1과  담당자  연구관  김정곤  (043-830-4241) 


출처 : 환경부